계장기술(PROCON)

기술정보 음향방출 기술을 이용한 밸브 미세누설 진단 시스템 (1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443회 작성일 23-12-14 16:34

본문

1. 개 요

제철소 및 석유화학 플랜트, 발전 플랜트 같은 대규모 산업 분야 등에서 밸브에서의 누설은 빈번히 발생하는 현상으로 고압과 고온 수증기 등을 취급하는 발전 플랜트나 부식성 가스, 용액 또는 가연성 가스 등을 취급하는 석유화학 플랜트에서 중대한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누설 조기 검출이 요구된다. 또한 미세누설이 시작되는 경우에는 사전 인지가 어렵고, 단위 시간당 누설량은 적더라도 장기간에 걸쳐 누설이 계속되면 손실은 막대하게 늘어나므로 경제적 손실이 증가한다. 유해가스의 경우에는 안전보건 등의 심각한 인적, 물적 자원의 위해를 가한다. 따라서, 누설이 발생하는 밸브들을 조기에 발견함은 물론 누설량으로 인한 손실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검사 기술이 매우 중요하게 인식된다.

당사는 2018년 1월 한국수력원자력과 휴면 기술 상용화를 위한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음향방출 측정법을 이용한 밸브 내부 미세누설 진단 및 감시 기술”에 대한 통상실시권(5년) 계약을 체결(산업재산권 2종 적용 포함)하였고, 이후 신뢰성 및 정밀도를 향상시킨 고성능, 저비용의 “밸브 내부 누설 진단 시스템”의 국산화 개발을 완료하였다. 본 기술은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사용 중인 각종 중요 밸브에 대해 음향방출(Acoustic Emission) 센서 및 고속, 정밀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내부 미세누설 및 설비 이상 상태를 실시간 감시 및 사전 진단 가능하도록 개발(4차 산업혁명의 화두인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위한 예지 정비 및 사전 진단에 초점을 맞춤)하였고, 정비 담당자의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머신러닝 기반의 AI 플랫폼이 지원되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2018년 12월부터 2020년 1월까지 포항 P사에 발전소 예지정비 부문의 BS(Benefit Sharing) 과제로 선정 및 1차 국산화 개발을 완료하였다. 추가로 202 1년 N사 발전 융복합 과제로 선정되어 고온(600도), 고압(270 Bar)인 볼 밸브에 현장 적용 및 성능 검증을 완료하였다. 또한 2023년 10월 방폭지역에서 밸브 내부 누설 진단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센서 및 진단 장치에 대해) 내압 방폭 인증을 취득하였다.


2. AET(Acoustic Emission Testing) 기술 개요

음향방출(AE : Acoustic Emission)이란 고체 변형 또는 파괴 시 발생하는 음을 탄성파로 방출하는 현상이며, 탄성파를 AE 센서로 검출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AE법이라고 한다. AE는 재료가 파괴되기 전부터 작은 변형이나 균열(Crack)의 진행 과정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AE의 발생 경향을 진단하여 재료와 구조물의 결함 및 파괴를 발견(예상)할 수 있다.

가. AET 기술의 특성
음향방출시험(Acoustic Emission Testing)은 발생된 탄성파를 각 구역에 설치된 음향검출 센서로 읽어 취득된 음향신호에 탄성파를 추출하기 위한 신호 증폭, 잡음 제거 등의 복합 처리 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구축한다. 추출된 복합신호 형태의 음향 조합 데이터에 재료별 탄성파 특성, 검출 파장과 주파수 해석, 종파와 횡파 요소, 파형의 반사, 굴절, 감쇠, 그림자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파단 혹은 성장하는 결함을 진단한다.

나. AET 기술의 장점
음향방출시험(Acoustic Emission Testing)은 고체물질이 변형을 일으킬 때 탄성파를 발생하는 것에 착안하여 개발된 비파괴 시험의 일종으로, 기존 비파괴 시험과 달리 시스템 결함이나 파단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최첨단 진단 기술이다. 또한 부재를 타고 전파하는 탄성파를 취득하는 것이기 때문에 센서가 결함과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있어도 결함을 탐지해 내고, 다른 비파괴 시험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의 감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 음향방출(AE : Acoustic Emission) 신호의 특성과 종류
음향방출 신호는 일반적으로 그림 2와 같이 돌발형(Burst type)과 연속형(Continuous type)으로 구분된다. 재료 내의 전위, 균열 생성과 성장 파괴에 의해 발생되는 AE는 대부분 돌발형이고, 유체의 누설과 재료의 소성 변형 등에 의해 발생하는 AE는 연속형이다. 음향방출 신호는 일반적으로 큰 진폭을 가진 돌발형 AE가 대부분이다. 본 기술의 핵심인 밸브 내부의 미세누설은 연속형 파형으로 나타난다. 음향방출 시험 시 발생하는 AE 신호 분석에 있어서 전체 파형을 기록하여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이 있으나, 측정 데이터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통상적으로는 AE 신호의 파형 정보를 변수화하여 기록할 정보량을 줄이는 신호 분석 방법을 사용한다. 음향방출 신호는 일반적으로 큰 진폭을 가진 돌발형(Burst type) AE가 대부분이므로 AE 측정 파라미터는 돌발형 AE를 중심으로 정의되었다. 연속형 AE의 분석에서는 신호의 에너지 값이나 실효 전압 및 주파수 스펙트럼을 이용한다.

a89774ff5aadfe29c2ef1b159fe17120_1702539170_8182.png            a89774ff5aadfe29c2ef1b159fe17120_1702539193_0927.png


3. 밸브 내부 누설 유형 및 측정 원리

가. 시트 누설(Seat leak)
밸브 내부 구조상 최소한의 틈새 발생으로 밸브 전·후단의 높은 차압으로 인한 유체 유동으로 시트 누설이 발생한다.

나. 마멸 현상
밸브 시트, 디스크 등의 유체와 접촉하여 마멸, 두 물체 간의 접촉 시 마멸에 관계하는 인자는 접촉면의 온도, 접촉 돌기의 분포, 접촉면의 거칠기 등의 접촉 상태와 재료의 경도, 작용 수직 압력, 미끄럼 길이 등에 의해 결정된다.

다. 캐비테이션(Cavitation) 손상
유체가 밸브 내부를 유동할 때 미시적인 증기방울들이 생성되고 깨어지는 과정으로, 캐비테이션이 발생하는 조건은 유체가 낮은 입력 영역을 지나서 다시 높은 압력 영역에서 발생된다. (제어 밸브의 경우 낮은 압력 영역은 보통 밸브의 시트 링(Seat ring)이나 수축부에서 부분적인 고속의 유동에 의해 일어남)

라. 측정 원리
그림 3은 밸브 내부 누설 발생을 센서에서 검출하는 경로를 보여준다. 밸브 디스크 등에 의해 내부 누설이 발생하면 누설에 의해 생성된 진동은 표면과 내부 공기를 통하여 센서에 전달된다. 또한 밸브 내부의 누설은 연속형 파형으로 나타나며, 탄성파 신호를 증폭, 분리, 분석하고 일정 시간 이상의 경보 문턱값(Alarm threshold)을 넘는다면 누설 발생을 알 수 있다.

a89774ff5aadfe29c2ef1b159fe17120_1702539248_6681.png 

yun1999@citopia.co.kr 

카테고리

카테고리
현재(2019~)

잡지리스트

잡지리스트

이달의 광고업체

이달의 광고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