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장기술(PROCON)

기타 (뉴스)스펙트럼 인스트루먼트 PCIe 디지타이저, 화산 조기 경보 시스템 고도화 기여 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751회 작성일 23-06-16 12:08

본문

스펙트럼 인스트루먼트 PCIe 디지타이저,
화산 조기 경보 시스템 고도화 기여

- 100dBm의 최소잡음전력 기반으로 6km 떨어진 거리에서도 화산의 미세한 움직임 감지
- 자체 열 차단 기능으로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문제없이 작동

19c471c3b0c12ff78352ff04bfac996f_1686884101_4572.png
디지타이저 및 제너레이터 전문 기업 스펙트럼 인스트루먼트(Spectrum Instrumentation)의 PCIe 디지타이저, M2p.5921-x4가 많은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세계 랭킹 10위권 대학 중 하나인 UCL(University College London) 연구팀의 화산 폭발 조기 경보 시스템 개발에 사용되며, 뛰어난 감도와 넓은 작동 온도 범위를 입증했다고 지난 5월 10일 밝혔다. M2p.5921-x4는 5MS/s에서 최대 10GS/s의 초고속 샘플링 속도와 8~16비트의 분해능, 2.5MHz~3GHz 이상의 대역폭을 갖추고 있고, 6km 밖에서도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할 만큼 뛰어난 감도를 자랑한다.
아민 아미리(Amin Amiri) 박사를 중심으로 구성된 UCL 연구팀은 화쇄류(PDC, 화산쇄설류)를 분출하는 3개의 활화산이 위치한 중앙아메리카, 과테말라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화쇄류는 최대 600km/h의 속도로 이동하는 가스, 암석, 화산재로 최대 800°C의 열을 동반하며, 큰 인명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UCL 연구팀은 스펙트럼 인스트루먼트의 디지타이저, M2p.5921-x4를 핵심 장비로 사용하여 화쇄류를 연구하고, 높은 수준의 감도를 갖춘 레이더 기반 조기 경보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19c471c3b0c12ff78352ff04bfac996f_1686884131_6187.png
UCL 연구팀 아민 아미리 박사는 “본 경보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선 감도가 매우 중요하다. 매우 민감한 -100dBm의 최소 잡음 전력을 가지고 있는 스펙트럼 인스트루먼트 디지타이저 기반의 이동표적표시(MTI) 시스템은 화쇄류의 첫 징후와 같은 미세한 움직임을 모두 포착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UCL 연구팀의 측정 장비는 4km 떨어진 곳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지만, 과테말라 지역의 지형적 한계로 인해 6km 밖에 설치되며, 측정 정확도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하지만 연구팀이 드론을 활용해 화산의 경사면을 추가로 모니터링 해본 결과, 6km 밖에서도 문제없이 작동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UCL 연구팀은 화쇄류 화산의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최초 연구의 일환으로 과테말라 산티아구토 화산의 한 경사면을 모니터링하는 장비를 설치했다. 해당 장비는 진동이 감지되면 레이더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지진 활동 감지기가 탑재되어 있어 화쇄류 분출과 관련된 데이터만 수집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장치의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팀은 수집된 데이터를 몇 달 뒤 회수 및 분석하고, 두 경사면에 추가로 모니터링 장비를 설치할 예정이다.
UCL 연구진이 개발 중인 경보 시스템은 송수신용 반사판을 포함한 X/Ku 밴드 레이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본 시스템은 수신 신호를 발신 신호와 비교, 화산 경사면에 화쇄류가 발생할 때마다 움직임과 범위에 대한 정보를 담은 중간 주파수(IF) 신호를 생성, 20MS/s 속도를 지원하는 M2p.5921-x4 디지타이저를 통해 디지털화되고, 스펙트럼 인스트루먼트의 SBench 6 측정 소프트웨어를 통해 처리된다.
아미리 박사는 “스펙트럼 인스트루먼트 제품은 과열을 방지하는 열 차단 기능 등을 통해 가혹한 환경에서도 무리 없이 작동한다. 타 프로젝트에서 스펙트럼 인스트루먼트의 제품을 여러 번 사용해보며, 제품의 우수한 성능을 경험했다. 앞으로의 연구에도 문제없이 작동할 것이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한편 연구팀은 35℃에 달하는 과테말라의 고온으로부터 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금속 상자를 덧대고, 그늘이나 내부 팬을 통해 장비의 온도를 조절하고 있다. 또한 금속 상자에 큰 핀을 부착하여 열을 방출하거나, 태양열 전지로 구동되는 냉각장치를 활용 중이다.
스펙트럼 인스트루먼트는 고유의 모듈식 개념으로 200개 이상의 다양한 디지타이저 및 제너레이터 제품을 PC 카드(PCIe및 PXIe) 및 독립형 이더넷 장치(LXI)로 설계 및 생산한다. 1989년 설립된 이래 30년간 업계 내 리딩 브랜드와 명문 대학 등 전 세계 다양한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독일 함부르크 인근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5년 보증과 설계 엔지니어가 직접 고객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www.spectrum-instrumentation.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간편함과 스마트함을 갖춘 디지털 모터스타터 소개

- 간편함을 높인 디지털 모터스타터로, IIoT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솔루션 제공
- 국내외 성공 사례 공유, 데모 시연을 통한 테시스 아일랜드 소개 간담회 가져

19c471c3b0c12ff78352ff04bfac996f_1686884179_4392.png       19c471c3b0c12ff78352ff04bfac996f_1686884194_2855.png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분야의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www.se.com/kr/ko, 한국지사 대표 김경록)가 지난 5월 16일(화) 서울 마곡 사무실에서 간편성과 스마트함을 갖춘 모터스타터 ‘테시스 아일랜드(TeSys Island)’를 소개했다.

제조 설비에서 모터는 필수적인 요소다. 모터는 장기간 사용에 의한 기기의 노후화 및 장비 불량과 동시에 복합적인 이유로 고장이 발생하고 있다. 모터가 고장날 경우에는 공장 생산라인이 중단돼 생산성이 감소되고, 수리비, 인건비 등의 손실이 발생한다. 이를 위해서는 모터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보호하는 모터스타터의 역할이 중요하다.

기존의 모터 관리 시스템은 복잡한 배선과 많은 입출력 포인트로 배선 실수로 인한 오작동의 위험이 있고, 소비 전력량이 증가하는 점이 있었다. 테시스 아일랜드는 여러 대의 모터스타터를 통신 케이블 하나로 연결해 모든 배선을 간소화한다. 또한 전자접촉기, 과부하 계전기, 모터보호계전기, 미터기의 4가지 기능을 1개의 모듈로 통합한다.

이 제품은 모듈식 구성으로 최대 20개의 스타터를 아일랜드(Island) 구성으로 조합해 모터 및 기타 전기 부하를 최대 80A까지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버스커플러 및 모니터링 기능을 갖춘 PIM 모듈, I/O 모듈 등을 조합할 수 있어 고객의 사업장에 환경에 맞춰 구성이 가능하다. 4분기에는 예지보전 기능을 갖춘 모델도 출시하고, 모터 고장 및 장비 동작 불량을 대비하는 모니터링 솔루션도 제공한다.

아울러 애플리케이션 TeSys Avatar(테시스 아바타)를 사용해 디지털 트윈과 같은 온라인 툴에서 기계 설계, 부하 통합, 제어까지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며, 각 설비 구성요소를 선택하여 시운전 작업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타사 PLC와의 호환성도 높아 타사의 자동화 시스템으로도 손쉽게 통합된다.

테시스 아일랜드는 자동화 시장에서 요구되고 있는 가장 높은 안전 규격인 SIL 3/PLe 등급을 만족하며, 산업용 기기의 네트워크 보안을 평가하는 국제적 인증인 ‘아킬레스 커뮤니케이션 인증(Achilles Communications Certification)’ 레벨 2단계를 준수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한국·몽골 파워프로덕트 사업부 오퍼 마케팅 담당 오정훈 매니저는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테시스 아일랜드는 lloT를 기반으로 전력 제어, 연결성 및 컴퓨터 데이터를 제공해 올바른 정보를 토대로 장비 성능 최적화를 위한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친화적인 엔드투엔드 디지털 고객 경험을 제공한다”라며, “기존에 사용하던 PLC에서도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어 변경에 어려움이 없기 때문에 모터 관리에 더욱 유용하다”라고 전했다.


TUV SUD(티유브이 슈드),
전 세계 매출 성장 및 투자 확대 발표

- 급변하는 세상에서 고객들이 지속가능성 달성을 위해 표준 준수 및 투명성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

19c471c3b0c12ff78352ff04bfac996f_1686884239_5964.png
독일의 대표적인 시험인증기관 TUV SUD(티유브이 슈드)가 2022년 전 세계 매출 성장 및 미래 투자 확대 현황을 발표하며 시험, 검사 및 인증(Testing, Inspection and Certification)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서 성공적으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티유브이 슈드는 기술 및 사회 트렌드를 이해하고, 그에 맞춰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능력과 지속가능성 및 디지털화와 같은 미래에 직면한 중요한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티유브이 슈드는 2022년에 총 128,800일의 직원 교육 일수를 기록하였으며,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영국, 태국, 인도, 중국, 미국 등의 지역에 새로운 시험소를 개소하는 등 글로벌 시험소 시설의 현대화 및 확장에도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티유브이 슈드 그룹(TUV SUD AG) 이사회 의장인 요하네스 부스만(Johannes Bussmann) 회장은 뮌헨에서 열린 연례 결과 기자 회견에서 “광범위한 역량, 광범위한 지역 네트워크, 방대한 범위의 전문 지식과 기술력을 갖춘 직원들의 이점을 바탕으로 TUV SUD는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도 회사의 안정적인 발전을 위한 탄탄한 기반을 마련했다”라고 말하며, “2022년에 매출은 전년 대비 7.3% 증가한 총 28억 6,300만 유로(약 4조 원)를 기록하며, 코로나19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인한 지속적인 정치적, 경제적 격변의 시기에도 여전히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티유브이 슈드의 CFO(최고 재무 책임자)인 마티아스 랍(Matthias J. Rapp) 교수는 2022년 매출 성장을 달성하는데 회사의 모든 비즈니스 부문과 지역이 제 역할을 다한 것에 만족감을 표했다. 산업, 모빌리티, 인증의 세 부문은 각각 회사 매출의 1/3씩을 차지한다. 2022년 인더스트리 부문(INDUSTRY segment)의 7,100여 명의 직원은 전년 대비 4.2% 증가한 9억 6,180만 유로의 수익을 창출했다. 랍 CFO 또한 6.7% 증가한 9억 4,500만 유로의 수익을 창출한 모빌리티 부문(MOBILITY segment)의 6,300여 명의 직원들의 인상적인 성과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또한 인증 부문(CERTIFICATION segment)은 약 8,300명의 직원이 전년 대비 11.1% 증가한 9억 7,380만 유로의 매출을 달성하는 두 자릿수 성장을 달성했다. 이처럼 인증 부문은 강력하고 탄력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티유브이 슈드는 전 세계에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독일을 포함한 유럽 지역은 2022년에 다시 한번 최고 매출을 달성했다. 유럽 지역이 2022년 기업 매출의 약 3/4을 차지했다. 미주 지역도 19.4% 증가한 1억 7,720만 유로(약 2635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아시아 지역 역시 12.8%의 높은 매출 증가율을 보이며 총 5억 1,730만 유로(약 7667억원)를 기록했고, 처음으로 5억 유로를 돌파했다.

랍 CFO는 “향후 몇 년 동안 지속적으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라며, “티유브이 슈드는 2022년에만 1억 5,400만 유로(약 2135억 원)를 글로벌 시험 인프라(Testing infrastructure) 확장, 새로운 서비스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지속가능성에 대한 회사 및 서비스 포트폴리오의 집중에 할당하는 등 회사의 발전을 위해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티유브이 슈드 그룹(TUV SUD AG) 이사회 의장인 요하네스 부스만 회장은 “자사는 2025년까지 기후변화를 초래하는 6대 온실가스의 순배출량을 제로화하는 ‘기후 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를 세웠다”라며, “자사의 가장 중요한 출발점은 건물 운영과 차량(The most important starting-points for the company are its building operations and its vehicle fleet)이다. 그룹 본사에서 건설 중인 ‘알고리즘(Algorithm)’ 빌딩을 비롯해 티유브이 슈드의 주요 건물 프로젝트 3건은 최고 수준의 에너지 효율 표준을 준수하고 있으며, 기존 티유브이 슈드 사옥 건물에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설치하고, 차량을 e-모빌리티로 전환할 계획도 수립 중”이라고 했다.

부스만 회장은 “지속가능성 및 관련 서비스에 대해 고객에게 선택받기 위해서는 신뢰성을 유지하고 지속가능성을 비즈니스 운영의 화두로 삼아야 한다”며, “자사는 에너지 전환과 경제 및 사회의 지속가능성으로의 전환에 필수적인 복잡한 기술과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테스트하는 데 필요한 전문 지식과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고 했다. 티유브이 슈드는 특히 해상 풍력 에너지와 수소 기술에 중점을 두고, 재생에너지의 발전과 저장 옵션 개발(Development of storage options)을 지원하고 있다.

청정수소에 대한 티유브이 슈드의 자체 청정수소(GreenHydrogen) 인증(CMS 70)과 복합화력 발전소(CCPP)및 수소혼소 터빈에 대한 수소 적합성(H2-Readiness) 인증은 국내 및 국제적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와 뮌헨 인근 가힝(Garching)에 위치한 연구소의 전문가들은 승용차 및 상용차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재료와 부품의 수소 호환성을 테스트한다. 또한 티유브이 슈드는 수소사회 전환을 가속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시험 방법도 개발하고 있다.

지속가능성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일관된 표준과 절대적인 투명성이 필요하다. 공정성을 갖춘 제3자 인증기관인 티유브이 슈드는 공인된 PAS-2060 표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EN 14064 및 14067 표준에 따라 제품 및 기업의 탄소발자국을 검증한다. 또한 티유브이 슈드 전문가들은 생산 공정에서 탄소 배출량에 대한 검증 및 검증 프로세스인 베리엑스(VeriX)를 개발했다. 이 프로세스를 통해 기업은 운영의 기준선을 정의할 수 있으며, 개별 개선 조치의 영향과 탈탄소화 프로세스의 진행 상황을 측정하는 벤치마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복잡한 화학공정에서 저탄소 재료를 사용할 때 탄소 저감량을 특정 제품에 할당하는 방법론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저탄소 제품 제조 노력을 비용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티유브이 슈드의 또 다른 혁신의 초점은 디지털화 관련 서비스의 개발과 발전에 있다. 티유브이 슈드는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기업과 중요 인프라를 보호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자율주행 시범 프로젝트를 통해 자동차 분야의 제조업체를 지원한다. 또한 인증기관으로서 인공지능 기술이 통합된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보안성을 평가하고 있다. 인공지능(AI)의 사용이 다양한 산업 분야의 프로세스에 광범위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된다. 티유브이 슈드는 인공지능 애플리케이션의 윤리적 측면을 다루는 최초의 글로벌 적용 표준인 IEEE-7000 표준 제품군을 포함하여 기존 규정 및 표준에 명시된 요구사항을 통합하는 초기 품질 관리 시스템을 개발했다. 또한 티유브이 슈드는 독일의 주요 TIC(시험, 검사, 인증) 제공 업체 및 산업 기업의 연합 조직인 티유브이 버밴드(TÜV Verband), 기타 TIC 기업 및 산업 및 사회 각 분야의 이해관계자와 협력하여 곧 시행될 유럽연합의 인공지능법 등의 출처를 기반으로 AI 테스트의 비교 가능성을 지원하는 기본 원칙과 도구를 개발하고 있다.

점점 더 디지털화되는 세상을 위한 서비스 제공과 더불어 티유브이 슈드는 자체 서비스 개발에도 디지털화를 최대한 활용하고 있다. 이미 여러 티유브이 슈드는 검사를 수행하는 전문가가 스마트 글래스를 사용하여 다른 분야의 동료를 호출하고, 그들의 전문 지식을 활용하고 있다. 또한 티유브이 슈드 싱가포르에서는 드론과 인공지능을 결합한 초고층 건물 외벽(Skyscraper facades) 검사를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했다.

부스만 회장은 “티유브이 슈드는 혁신적인 솔루션과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국내 및 국제 이사회와 위원회의 일원으로 활동하면서 최첨단 기술 발전과 사회적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이를 구체적인 서비스로 전환하는데 노력하고 있다”며,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세상에서 티유브이 슈드는 안전, 보안 및 지속가능성 솔루션 파트너로서 어제, 오늘, 내일도 고객의 비즈니스의 성공을 위해 주력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지난 1866년에 설립된 TUV SUD Group은 전 세계에 25,000명 이상의 직원이 약 50개국 1,000개 이상의 지역에서 기술, 시스템 및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일하고 있다. 티유브이 슈드는 인더스트리 4.0, 자율주행, 재생에너지와 같은 혁신 기술을 보다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 있다. www.tuvsud.com


한국전기연구원 ‘제조 AI’
전국 강소특구 기업에 전파한다

19c471c3b0c12ff78352ff04bfac996f_1686884285_5921.png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및 캐나다 워털루 대학과 ‘강소특구 AI 지원을 위한 업무 협약’을 지난 4월 28일(금) 체결했다고 밝혔다.
‘지능전기 기반 기계융합’를 핵심 키워드로 내세우고 있는 창원 강소특구는 제조업 응용 AI 분야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워털루 대학과 함께 기업 지원 사업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다. 20 19년부터 빅데이터 기반 AI 기술을 통해 지역 기업들을 대상으로 ‘핵심 부품 고장 상태 진단’,
‘조립 지능화’, ‘효과적인 공구 관리 및 제품별 최적 맞춤 가공’ 등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해왔고, 수혜 기업들의 업무 효율성 제고, 작업환경 개선, 품질 및 생산성 향상 등 큰 효과를 보고 있다.
이번 협약식은 창원 강소특구의 제조 AI 기술을 전국구 강소특구 소재 기업들에게 전파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됐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을 중심으로 공정·제조 분야에서 AI 기술 활용을 희망하는 기업을 발굴하고, 이들을 위한 기술 지원 및 검증을 제공한다. 또한 전국 14개 강소특구 기술 핵심 기관, 산업계, 국내외 연구기관 등을 대상으로 제조 기반 AI 교육 및 세미나를 통해 관련 분야 유망 기업 우수 사례를 소개하고, 노하우를 전파한다는 계획이다.
KERI 김남균 원장은 “전국 강소특구에 있는 많은 기업들이 창원의 모범 사례처럼 선진 맞춤형 제조 AI 실증 지원 혜택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고,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강병삼 이사장은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강소특구 내 기업의 AI 경쟁력 강화는 물론, 한·캐 양국 혁신 주체 간 생태계 교류·협력이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KERI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이다. 창원 강소특구는 2019년 지정 이후 지난해까지 총 사업비 147억 6000만 원을 투자해 ‘지능전기 기반 기계융합’과 관련한 기술 발굴·기술이전 사업화·강소형 기술 창업 특화 성장 등을 지원했다. 주요 성과로는 기술이전 실적 58건(51.8억 원), 연구소기업 설립 23개사, 특화 분야 창업기업 설립 34개사 등이 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제조 실행 시스템 부문 ‘리더’로 선정

- 디지털 혁신 기업으로 비전의 완전성과 실행 능력 인정
- 확장성, 유연성 및 사용 편의성에 대한 고객의 니즈 지원

19c471c3b0c12ff78352ff04bfac996f_1686884324_695.png
세계 최대 산업 자동화 및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문 기업인 로크웰 오토메이션(Rockwell Automation)이 FactoryTalk MES 및 Plex 스마트 제조 플랫폼을 포함한 포트폴리오의 평가에서 가트너가 선정한 MES(제조 실행 시스템) 부문 매직 쿼드런트(Magic Quadrant)의 리더로 선정되었다고 지난 5월 10일 발표했다. 이 평가는 회사의 전반적인 비전 완성도와 실행 능력 등 구체적인 기준을 기반으로 선정한다고 설명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매직 쿼드런트의 리더로서 디지털 혁신 기업으로 평가되었으며, 디지털 혁신 과정에서 고객을 만나고 스마트 제조 이니셔티브에서 확장성, 유연성 및 사용 편의성에 대한 고객의 니즈를 지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MES 포트폴리오를 통해 제조업체는 사람과 시스템을 연결하고,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종단 간 데이터를 추적하고, 정보를 캡처 및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강력한 기능을 통해 제조업체는 운영 전반에 걸쳐 새로운 수준의 가시성, 품질 및 제어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MES 포트폴리오는 규제가 심한 산업을 포함하여 다양한 시장의 제조업체에 클라우드 기반 및 온프레미스 솔루션을 모두 갖춘 모듈식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소프트웨어 및 제어 부문 수석 부사장인 브라이언 셰퍼드(Brian Shepherd)는 “종단 간 MES 솔루션을 제공하는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전문성 덕분에 경쟁이 치열한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낼 수 있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이 MES 부분에서 리더로 인정받게 되어 자랑스럽다”라고 언급했다. 그는 “제조업체가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원활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달성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업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매직 쿼드런트 보고서는 특정 시장에 대한 엄격한 사실 기반 연구의 결과물로서 성장률이 높고, 공급업체의 차별화가 뚜렷한 시장에서 공급업체의 상대적 입지를 광범위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비전의 완성도(제품 전략, 혁신 계획 등 평가)와 실행 능력(제품, 서비스, 시장 대응성, 고객 경험 등 평가)를 기준으로 평가해 각 회사를 △리더 △챌린저 △비저너리 △틈새시장 플레이어로 선정한다고 설명했다.

가트너 보고서를 통해 고유한 비즈니스 및 기술 니즈에 적합하도록 시장 분석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공급업체는 최종 사용자 전문가를 대상으로 엔터프라이즈 기술 솔루션에 대한 검증된 직접 검토 및 등급을 제공하는 공개 플랫폼인 가트너 피어 인사이트(Gartner Peer Insights™)에서 전문가 평가를 받는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에 대한 가트너가 제공하는 익명의 고객 리뷰는 다음과 같다.
•“촉박한 기한을 맞추는 훌륭한 팀이다. 사용자 커뮤니티는 새로운 시스템을 즉시 받아들이면서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있다.”– 제조업 부문 최고 정보 책임자
•“일반적으로 IT의 부담을 덜어주는 매우 직관적인 플랫폼으로서 매우 안전하고 쉽게 액세스할 수 있다.”
- 제조업 부문 비즈니스 시스템 이사
•“훌륭한 기술력, 경험 및 전문성을 갖춘 매우 유능한 프로젝트 팀을 보유하고 있다.”
– 프로젝트 관리(의료 및 생명공학 업계의 수석 전문가)

로크웰 오토메이션(NYSE : ROK)은 산업 자동화 및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이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인간의 상상력과 기술의 잠재력을 연결하여 인간의 가능성을 확장함으로써 더욱더 생산적이고 지속 가능한 세상을 만들고 있다. 위스콘신주 밀워키에 본사가 있는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28,000여 명의 직원이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고객을 위해 일하고 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The Connected Enterprise) 비전에 대한 더 자세한 사항은 웹사이트 www.rockwellautomation.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파트너사와
‘2023 대한민국 기계설비전시회’ 참가

- 데이터센터에 적합한 쿨링 및 3상 UPS 제품 선보여
19c471c3b0c12ff78352ff04bfac996f_1686884369_9389.png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분야의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www.se.com/kr/ko/, 한국지사 대표 김경록)가 파트너사 2곳(우진기전, 이피코리아)과 5월 10일부터 12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3 대한민국 기계설비전시회(HVAC KOREA)’에 참가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선보인 제품군은 대형 데이터센터용 냉각기인 △프리쿨링 냉동기(Free cooling chiller), △팬월(Fanwall), △인로우쿨링(InRow Cooling), △항온·항습기, △무정전 전원 장치(UPS) 총 5가지이다. 
최신 공냉식 프리쿨링 냉동기는 300~2200Kw 범위까지 수용 가능해 대형 데이터센터에 적합하며, 실외 공기를 활용하는 자유 냉각 시스템을 도입해 연간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총 소유비용을 감소)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팬월은 벽 자체를 팬으로 만드는 빌트인 방식으로 냉기를 공급한다.
무정전 전원 장치(UPS) 제품군으로는 중대형 데이터센터에 적합한 고효율 UPS인 갤럭시VL을 선보였다. 갤럭시VL은 모듈식 아키텍처를 통해 200kW부터 500kW까지 전원 공급 중단 없이 전력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중요한 부하에 대해 가장 높은 보호 수준(IEC 62040-3 Class1)을 만족하는 eConversion 모드를 통해 최대 99%의 효율성을 제공해 UPS 전력 소비를 3배 이상 감소한다.
행사장에서 선보이는 전 제품은 슈나이더 일렉트릭 자체 에코 라벨인 그린 프리미엄(Green Premium) 인증을 받아 제품의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했으며, 자사 loT 기반의 개방형 아키텍처 및 플랫폼인 에코스트럭처(Eco Struxure)와 연동돼 다양한 관리 옵션을 제공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시큐어파워 사업부 최성환 본부장은 “파트너사들과 함께 준비한 이번 전시회는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지향하는 지속가능성을 위한 다양한 제품을 보여줄 수 있는 자리”라며 “특히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앞으로도 데이터센터의 전체적인 환경 지속가능성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할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텔레다인 플리어 코리아, 광학 가스탐지 카메라
‘FLIR G-Series’ 출시 기념 데모 이벤트

19c471c3b0c12ff78352ff04bfac996f_1686884403_9657.png
미 텔레다인 테크놀로지스(Teledyne Technologies Incorporated)의 자회사 텔레다인 플리어 코리아(한국지사장 이해동)가 광학 가스탐지 카메라를 출시한다고 지난 5월 18일 밝혔다.
광학 가스탐지 카메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및 유해 가스들을 연기처럼 보여주는 제품으로, 가스를 사용하고 배출하는 공장들의 환경과 안전 향상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다. 최근 OGI 카메라를 활용한 플레어 스택과 저장시설 점검을 골자로 한 대기환경법 개정으로 광학 가스탐지 카메라 수요가 크게 증가됐고, 화학물질 안전관리 및 중대 재해 예방에도 활용되고 있다.
텔레다인 플리어 코리아는 광학 가스탐지 카메라 제품을 최초 출시한지 10여 년이 흐른 지금, 제품 실사용자들의 개선 요구사항을 반영해 신제품을 출시한다고 설명했다.
텔레다인 플리어에 따르면 신제품 ‘FLIR G-시리즈(FLIR G-Series)’는 LDAR 전문가의 효율성을 높이고, 탄화수소 가스 배출량을 원활하게 측정할 수 있는 혁신 기능을 제공한다. OGI 업계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이름과 기술을 카메라의 정량화와 같은 획기적인 기능과 터치스크린, 교환 가능한 광학 장치 및 무선 데이터 전송을 포함한 업데이트된 하드웨어와 결합한 G-시리즈는 OGI 전문가가 누출을 찾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다. 또한 문서화 시간을 줄이는 동시에 가스 누출의 심각성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텔레다인 플리어는 ATEX 등급, OOOOa 감도 규정 준수 및 시장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인체공학과 같은 전문 OGI 카메라에 대한 기존 요구사항을 추가한 이 새로운 솔루션은 감지 작업을 그 어느 때보다 훌륭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며 신제품을 설명했다.
이번 신제품 출시를 기념해 텔레다인 플리어 코리아는 FLIR G-시리즈 제품 데모 이벤트를 진행한다. 2023년 5월 18일(목)부터 6월 30일(금)까지 진행되는 이번 이벤트는 데모를 신청하는 고객에게 다양한 사은품을 지급한다.
텔레다인 테크놀로지스(Teledyne Technologies)의 자회사인 텔레다인 플리어(Teledyne FLIR)는 4000여 명의 직원이 전 세계적으로 분포돼 있는 국방 및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지능형 감지 솔루션 분야의 리더 기업이다. 1978년 설립돼 전문 인력들이 생명과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더 빠르고, 현명한 결단을 내리기 위해 첨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지멘스,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MES 부문 리더로 선정
- 지멘스, 6회 연속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MES 부문 리더 선정
- 비전 완성도 및 실행 능력 기반 평가

19c471c3b0c12ff78352ff04bfac996f_1686884446_431.png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Siemens Digital Industries Software)가 지난 5월 15일, 가트너(Gartner, Inc)의 2023년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GartnerⓇ Magic Quadrant™) 제조 실행 시스템(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s, 이하 MES) 부문 리더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지멘스는 6회 연속으로 해당 부문의 리더로 자리매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트너가 정의하는 MES는 원자재를 중간재 및 완제품으로 변환하는 데 관련된 실시간 물리적 프로세스의 실행을 관리, 모니터링, 동기화하는 생산 지향 소프트웨어의 특화 부문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작업 명령 실행을 생산 일정, ERP, 제품 수명주기 관리(Product Lifecycle Manage ment, PLM)와 같은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시스템과 조율한다. 또한 MES 애플리케이션은 프로세스 성능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며, 필요한 경우 컴포넌트 및 자재 차원에서의 추적성과 계열 관계 및 프로세스 이력과의 통합을 지원한다.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의 디지털 제조 부문 제조 운영 관리 수석 부사장 토비아스 랑게(Tobias Lange)는 “가트너가 지멘스를 리더로 인정해준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이는 우리 비전의 강점, 유연성, 안정성을 기반으로 한 고객 경험, 포트폴리오와 역량을 성장시키면서 고객에게 일관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라고 믿는다. 또한 지멘스 디지털 로지스틱스(Siemens Digital Logistics)와의 협업을 통한 공급망 범위 확장을 위한 노력을 인정받게 되어 자랑스럽다”라고 말했다.
Siemens Xcelerator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포트폴리오의 Opcenter™ Execution MES 소프트웨어는 설계,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데이터를 실제 완제품 생산에 정확하게 반영해 제조 운영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더불어 공장 현장에 포괄적인 디지털 트윈을 제공해 기업이 엔터프라이즈 시스템과 자동화된 제조 장비를 디지털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생산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Opcenter는 오늘날 제품 및 생산 프로세스의 복잡성을 해결해 제품이 계획대로 기한 안에 비용 효율적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현장 인력, 원자재, 납품된 컴포넌트, 진행 중인 작업이 적시에 적재적소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 프로세스 가속화를 지원한다.


테스토코리아, ‘2023 대한민국
기계설비전시회(HVAC KOREA)’ 성공리에 참여

- 데이터센터관(IDC)에 참가해 데이터센터 산업용 온습도 모니터링 시스템인 ‘testo Saveris Solution’ 소개
19c471c3b0c12ff78352ff04bfac996f_1686884494_5803.png
측정 기술 분야의 세계 선두 기업 테스토(Testo)의 한국지사 테스토코리아(Testo Korea, 지사장 전경웅)가 지난 5월 10일(수)부터 5월 12일(금)까지 사흘간 삼성동 코엑스(COEX) 전시장에서 열린 ‘2023 대한민국 기계설비전시회(HVAC KOREA)’에 성공리에 참여했다.
올해 8회째를 맞이한 ‘2023 대한민국 기계설비전시회(HVAC KOREA)’는 냉난방공조, 위생설비, 소방설비 등 기계설비 전 분야의 신제품, 신기술을 소개하는 국내 유일의 기계설비 종합 전시회이다.
테스토코리아는 이 전시회의 데이터센터관(IDC)에 참가하여 testo Saveris Solution을 선보였다. 기존에는 주로 제약 및 바이오 시장을 타깃으로 했던 것과 달리, 올해 전시회에서 테스토는 처음으로 데이터센터관(IDC)에 참가함으로써 산업용 온습도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한 어떤 환경에서든 testo Saveris Solution이 발휘할 수 있는 장점에 대해 소개했다.
데이터센터 산업용 온습도 모니터링 시스템인 testo Saveris Solution은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환경지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중앙에서 실시간 모니터링을 지원한다. 측정값이 설정한 주기마다 기록되기 때문에 어느 시점에 온습도를 비롯한 환경지표 등을 조절해야 하는지 명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측정값 보고서 작성 기능도 지원한다. 특히 testo Saveris Solution은 기획부터 설치, 검교정 사후 관리까지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 관리가 가능한 종합 솔루션으로 연구개발(R&D), 헬스케어, 제조, 물류, 식품 산업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디지털 기반의 종합 모니터링 시스템이다.
이 제품은 WLAN, 이더넷, testo UltraRange 기술을 통한 테스토 통신 모듈 결합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데이터 손실 및 차단이 전혀 없는 측정 데이터를 자동 저장한다. 또한 종합적인 알림 관리 시스템과 데이터 백업 자동화 설정 기능을 제공하고, 프로젝트 설계부터 유지보수까지 종합적인 측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테스토코리아 홍성수 세일즈 매니저(Sales Manager)는 “이번 전시회는 testo Saveris Solution이 데이터센터(IDC)의 온습도 관리에 최적화된 솔루션이라는 점을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향후에도 testo Saveris Solution의 활용 범위를 더욱 확대하고, 고객의 환경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쾌적한 IT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element14, Grayhill의 정밀 스위치 공식 유통업체로 지정
- 새로운 제품군으로 고객에게 다양한 고품질의 직관적 HMI 장치 제공
19c471c3b0c12ff78352ff04bfac996f_1686884542_5411.png

element14가 다양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MI) 솔루션에 사용되는 정밀 스위치 제조업체인 Grayhill의 공인 유통업체로 지정되었다고 발표했다. 새로운 계약 덕분에 EMEA 및 APAC 지역에 걸친 element14 고객은 OEM 시스템 설계에 사용되는 다양한 고품질 HMI 제품을 신속하게 배송받을 수 있게 되었다. 제공되는 제품에는 광학 인코더 및 조이스틱, 회전 스위치, 키패드, 푸시버튼 및 터치 인코더 등이 포함된다.
이로써 element14 포트폴리오에 햅틱(인터페이스의 터치감과 느낌) 최적화에 매우 전문화된 스위치 회사가 추가되었다. Grayhill 제품은 고급 자동차 제조업체 및 오프로드 차량을 위한 견고한 인터페이스뿐 아니라, 응급 대응 무선을 포함한 정밀 의료 장치 및 방위 애플리케이션의 중심 구성요소로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element14의 글로벌 제품 세그먼트 스위치 책임자인 케이스 포브스(Keith Forbes)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터치스크린 및 기타 많은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분야에서 햅틱이 부상하고 있으며, 이는 Grayhill의 핵심 분야입니다. 로터리 스위치와 인코더의 제품군을 통해 개발자와 OEM 제조업체는 당사의 재고에서 빠른 리드 타임으로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 구성요소에 액세스하여 제공할 수 있습니다. Grayhill 제품군이 추가됨으로써 인기 구성품 재고의 깊이가 심화되었고, 지역의 서비스 및 지원 리더로서의 element14의 입지는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Grayhill의 마케팅 이사인 카렌 엔트리켄(Karen Entriken)은 “새로운 계약을 통해 Grayhill의 제품 EMEA 및 APAC 전역의 재고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당사 제품은 고객에게 다양한 언어와 최종 제품 구성을 지원할 수 있는 터치 디스플레이, 키패드, 스위치 정밀성과 기능을 제공하며, 이 모든 것은 Grayhill의 풍부한 경험과 혁신의 역사가 뒷받침한다”라고 말했다.  
1943년에 설립된 이래 Grayhill은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최고급 휴먼 인터페이스 솔루션을 하는 데 전념해왔다. Grayhill의 정밀 스위치는 EMEA 지역 Farnell, 북미의 Newark, APAC 지역 element14에서 확인할 수 있다.


LG화학, 이스라엘서 대규모 해수담수 프로젝트 수주
LG화학의 역삼투막(RO)이 도입될 이스라엘 아쉬도드 해수담수화 플랜트

19c471c3b0c12ff78352ff04bfac996f_1686884583_2738.png
LG화학(http://www.lgchem.com)이 이스라엘에서 대규모 해수담수화 역삼투막(Reverse Osmosis Membrane, RO)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지중해 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섰다.
LG화학은 지난 5월 18일 이스라엘 아쉬도드 담수화 프로젝트에 역삼투막 단독 공급 업체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아쉬도드 프로젝트는 이스라엘 5대 담수화 플랜트 중 하나로, 글로벌 엔지니어링 회사인 샤피르(Shapir)와 수처리 업체 GES가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다.
LG화학은 올해 하반기부터 연말까지 3만여 개의 역삼투막을 아쉬도드 담수화 플랜트에 공급할 계획이다. 역삼투막 3만여 개는 연간 1억 톤(하루 33.6만 톤)의 해수를 담수화해 약 110만 명이 사용할 수 있는 물을 생산할 수 있다.
플랜트가 본격적으로 가동하는 2024년이 되면 이스라엘에서 LG화학의 역삼투막이 정수하는 지중해 물은 기존 팔마힘, 하데라, 아쉬켈론 등의 담수화 플랜트 정수량을 합쳐 연간 총 3억 톤(하루 82.5만 톤)이다. 이는 이스라엘 전체에서 쓰이는 담수의 1/3 이상에 해당한다.
담수화 시설은 수년 주기로 역삼투막의 교체 수요가 발생해 이스라엘 지역에서 LG화학 역삼투막의 수요도 지속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북아프리카 및 이스라엘이 속한 지중해 연안은 덥고 건조해 담수를 구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식수 대부분을 해수담수화 시설에 의존하는 만큼, 고성능 역삼투막에 대한 수요가 높다.
LG화학의 역삼투막은 염분 제거율이 세계 최고 수준인 99.89%에 달한다. 바닷물을 통과시키면 염화나트륨 분자 1만 개 중 11개만 남을 정도다. 특히 박막 나노 복합체(TFN, Thin Film Nanocomposite) 기술로 나노 입자를 막 표면에 입혀 염분 제거율은 유지하면서도 타사 제품보다 유량(Flux)은 20% 이상 많다. 높은 압력이 필요하지 않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이스라엘 지역 대형 수주를 바탕으로 LG화학은 지중해 지역 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LG화학은 수처리 필터 사업을 시작한 2014년부터 꾸준히 수주량을 늘려 LG화학의 역삼투막으로 정수하는 물은 연간 18억6000만 톤이다(하루에 510만 톤으로, 1700만 명이 소비하는 물의 양). 이 중 이집트, 스페인령 카나리아 제도 등에서는 전체 물 수요량의 50% 이상을 LG화학의 역삼투막에 의존하고 있다.
글로벌 수처리 조사기관 GWI(Global Water Intelligence)에 따르면, 수처리 필터 시장은 2019년 5조 3000억 원에서 연평균 3.9% 성장해 2024년 6조 4000억 원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형훈 RO필터사업담당 상무는 “이스라엘 아쉬도드에서 대형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핵심 시장인 지중해 지역에서 LG화학 역삼투막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라며 “지구 온난화로 물 부족 문제가 심화되고 있고, 한국도 최근 남부 지방의 가뭄 사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 부족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다. 업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수주 실적을 바탕으로 전 세계 고객에게 보다 깨끗한 물과 수처리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카테고리

카테고리
현재(2019~)

잡지리스트

잡지리스트

이달의 광고업체

이달의 광고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