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정보 (연재)디지털 트윈은 어떻게 구축하고 활용해야 하는가? <4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081회 작성일 21-11-15 17:42본문
5. 디지털 트윈 적용 사례
디지털 트윈은 운영 관리에 필요한 디지털 데이터를 구축하고, 관리 목적에 따른 다양한 제어시스템과 연결하여 목적에 따른 데이터 분석으로 현재보다도 개선된 운영 환경과 업무 예측을 이용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1)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활용 사례: 영국 크로스레일(철도 운영 관리 및 지하시설물 관리)
2)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활용 사례: 싱가포르
지하 시설물 콘크리트 균열 검색 실제 사례(싱가포르 도시 재개발청)는 콘크리트 균열, 철 구조물 부식, 현장 시공 오류 등을 머신러닝을 통해서 자동으로 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머신러닝은 보통 20시간 정도의 학습을 통해서 기본 데이터 모델을 구축하면, 시설물의 균열이나 부식을 자동 인식하고 검색할 수 있다.
3)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활용 사례 : 더블린, 아일랜드
4)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활용 사례 : 헬싱키, 핀란드
5) 벤틀리시스템즈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축된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활용 사례
현대자동차와 수자원공사는 현장 점검을 하였고, 드론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균열 검색을 수행하였다.
현실 3D 모델 또는 3D BIM 모델을 이용하고, 시공 분석과 현장의 계측 장비를 연결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고장 사고 대응에 대한 자료를 연계한 사례다.
- 이전글(파트너링기술)높은 비출력과 효율로 고속 구동 시스템을 소형,경량화 가능한 초고속 회전기 설계 및 시험 기술 21.11.15
- 다음글<연재>CIP 안전 네트워킹의현재와 그 이후 <1회> 21.11.15